이제 이틀 뒤면 우분투 9.04 버전 정식 버전이 발표됩니다. 현재 우분투 8.10 버전을 사용하고 있다면, 새로 설치하지 않고 업그레이드만 해도 됩니다. 우분투가 아주 친절하게 업그레이드 작업을 진행합니다.

업그레이드를 하기로 마음을 먹었다면, 우선 안전을 위하여 그동안 작업해둔 파일은 백업하시고, 또, 따로 설치했던 프로그램이나 폰트 등도 역시 백업을 해두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후 <Alt-F2>를 누릅니다. 프로그램 실행 대화상자가 나타납니다. 여기에서 "update-manager -d"를 입력하여 업데이트 관리자를 -d 옵션으로 실행시킵니다.

다음 그림과 같이 업데이트 관리자가 실행됩니다. 여기서 "새 배포판 9.04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라는 메시지 옆에 "업그레이드" 버튼을 누릅니다.


다음 그림과 같이 'Jaunty Jackalope' 릴리즈 정보가 나옵니다. "업그레이드" 버튼을 누릅니다.


이제 업그레이드 도구를 다운로드받아 설치합니다. 설치가 끝나면 다음 과정이 나타납니다.



실제 업그레이드 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암호를 확인합니다.

암호를 확인한 후, 본격적인 업그레이드 작업을 진행합니다. 준비 작업을 거쳐, 어떤 패키지를 업그레이드할 것인지를 확인합니다.


제 시스템의 경우에는 아래 그림과 같이 9개의 패키지를 삭제하고, 97개의 패키지를 새로 설치하고, 935개의 패키지를 업그레이드할 것이라고 안내합니다. "업그레이드 시작" 버튼을 누르면 패키지를 다운로드받고 설치하는 과정을 진행합니다.


업그레이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꽤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아마도 새로운 CD 이미지를 받아서 설치하는 것보다 많은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설치가 끝나면, 삭제할 패키지를 알리고, 삭제할 것인지를 묻습니다.



이제 필요없는 패키지도 모두 지우고 9.04로의 업그레이드가 끝났습니다.
"지금 바로 재시작" 버튼을 눌러 재시작합니다.


9.04에서 바뀐 부팅 화면과 로그인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은 부팅화면입니다.


다음은 로그인 화면입니다.


로그인하면 나타나는 데스크톱의 바탕화면도 바뀌었습니다.
다음은 바탕화면입니다.

이상은 우분투 8.10 버전에서 9.04 RC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과정이었습니다.
자신이 설치한 패키지에 따라서 시간이 많이 걸릴 수도 있겠습니다. 저는 8.10 버전을 거의 처음 설치된 것과 같은 상태에서 9.04로 업그레이드 한것이고요, 1시간 10여분 남짓 소요되었습니다.
9.04 의 EXT4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마도 clean 설치해야 할 듯 합니다. ext3를 ext4로 전환할 수 있다고 하지만, boot 파티션을 전환하면 부트매니저가 ext4를 인식 못할수도 있다고 합니다. 저는 boot 파티션을 별도로 두지 않았기때문에 그냥 새로 설치하려고 합니다.
설치하기 전에 RC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과정을 진행해보았습니다. 이렇게 이틀 사용하다가 새 버전 나오면, 새로 설치하고, 새로 설치하는 과정 역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9.04 버전 발표  (0) 2009.04.24
우분투를 소재로한 만화 우분츄  (0) 2009.04.23
EXT4 파일시스템의 특징  (3) 2009.04.20
우분투 9.04 Release Candidate 버전 발표  (2) 2009.04.18
리눅스 배포판 계통도  (1) 2009.04.15
Posted by 달리만듦
며칠 후면 발표될 우분투 9.04부터는 ext4 파일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얼마전 발표된 페도라 11 테스트 버전에는 디폴트 파일시스템으로 ext4를 사용하고 있다. 이제 리눅스 진영에서는 ext4를 기본 파일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늘어날 전망인데, ext4의 특징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고자한다.

큰 용량의 파일시스템 지원
ext4 파일시스템은 볼륨의 크기를 1 exabyte 까지 지원한다. 또 하나의 파일의 크기를 16 terabyte 까지 지원한다.
exa는 EB로 표시한고, 십진수로는 1000의 6제곱, 10의 18 제곱 이고 이진수로는 1024의 6제곱 또는 2의 60 제곱이다.
참 고로 엑사바이트가 어느 정도인지를 가늠하기 위해서 몇 가지 알아보면, 1 엑사바이트는 50,000 년 분량의 DVD 품질의 비디오 데이터의 크기와 같다. 2008년 12월 전세계에서 사용한 월간 인터넷 트래픽의 양이 5 ~ 8 엑사바이트 정도라는 통계가 있다.

계산을 쉽게하기 위해서 1시간짜리 DVD 영화는 4GB 용량을 차지한다고 생각하면,
4GB 영화를 바이트로 계산하면, 4 * 1024 * 1024 * 1024 = 4294967296 byte
1 엑사바이트를 바이트로 계산하면, 1 exabye =
1152921504606846976 byte
이를 나누어보면 268435456 (시간)이 나온다.
다시 하루는 24시간이므로 24로 나누면, 11184810 (일)이 나오고,
다시 1년은 365일이므로 365로 나누면, 30643 (년)이 나온다.

ext4를 사용하면, 하나의 디스크 볼륨으로 이정도 용량을 사용할 수 있게된다는 얘기다.

Extents 사용
extents 는 ext2/ext3 파일시스템에서 사용되던 블록매핑 스킴을 대체하여 도입되었다. 익스텐츠는 한 범위의 연속된 물리적 블록으로 큰 파일에 대한 성능을 향상시키고 조각화를 줄인다. ext4에서 하나의 단일 익스텐츠는 4KB 블록크기의 연속 공간으로 128MB까지 맵핑할 수 있다. inode에는 4개의 익스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4 익스텐츠보다 큰 파일에 대해서는 나머지 익스텐츠를 Htree에 인덱스한다.

과거 파일시스템과 호환성 유지
ext4 파일시스템은 ext3, ext2와 호환성을 유지한다. 이로써 ext3, ext2 파일시스템을 ext4로 마운트할 수 있다. 이점은 새로운 블록 할당 알고리즘 등 ext4의 새로운 특성을 ext3이나 ext2에 사용할 수 있다는 점때문에 약간의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이다.
ext3 파일시스템은 부분적으로 ext4와 미래 호환성을 갖는다. 즉 ext4 파일시스템은 ext3 파티션으로 마운트할 수 있다.(마운트할 때 ext3 파일시스템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ext4 파티션에서 extents를 사용한다면, ext3 파일시스템으로 마운트할 수 없을 것이다.

Persistent pre-allocation
ext4 파일시스템은 파일에 대하여 디스크상의 pre-allocation을 고려한다. 이에 대한 현재 방법론은 대부분의 파일시스템이 파일이 생성될 때 0에서부터 확보한 공간만큼 파일의 전체를 쓰는 것이다. 이 방법은 이제 ext4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ext4와 XFS를 포함한 이러한 기능을 가진 파일시스템을 위한 fallocate() 시스템 함수가 리눅스 커널에 추가되었다. 이는 미디어 스트리밍, 데이터베이스 등의 어플리케이션에 유용한 기능이 될 것이다.

Delayed allocation
ext4 는 allocate-on-flush라고 알려진, 다른 말로 delayed allocation이라고도 부르는 파일시스템 성능 향상 기술을 사용한다. 이는 다른 파일시스템이 데이터가 디스크에 쓰여지기 전에 필요한 블록을 할당하는 것과는 달리, 데이터가 디스크에 쓰여질 때까지 블록 할당이 지연되는 기술이다. 이는 성능 향상을 가져오고 실제 파일 크기에 기초하여 블록 할당을 수행하므로 조각화를 방지한다.

32,000개의 서브디렉토리 제한이 없어짐
ext3 에서는 하나의 디렉토리에 생성할 수 있는 서브디렉토리는 32,000개로 제한이 있었다. ext4에서는 64,000개로 늘어났다. 그리고 "dir_nlink" 특성으로 이 제한을 넘어설 수도 있다. 지속적인 성능향상을 위하여 충분히 큰 디렉토리 ext4에서는 htree 인덱스를 기본으로 사용하도록 되어있다. 이 특징은 리눅스 커널 2.6.23부터 포함되어있다. htree는 dir_index 기능을 사용한다면 ext3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Journal checksumming
ext4 는 신뢰성을 위해서 저널에서 체크섬을 사용한다. 저널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디스크 파일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 특징은 저널링 프로세스 기간동안 디스크 I/O를 피하는 이득을 제공하여 약간의 성능 향상을 가져온다. 저널 체크섬 기술은 위스콘신 대학의 IRON File Systems라는 연구에서 영감을 얻었다.

온라인 조각모음
온라인 조각모음에 대한 몇 가지 제안이 있지만, 아직 커널에 포함되지는 않고 있다. 조각화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명한 기술이라도 오래 사용하다보면 조각화된다. ext4는 개별 파일에 대한 조각모음 또는 전체 파일시스템에 대한 조각모음 툴을 제공할 계획이다.

빠른 파일시스템 검사
ext4 에서는 할당되지않은 블록 그룹과 inode 테이블 섹션에 대해서는 할당되지않은 것으로 표시한다. 이는 e2fsck가 파일시스템을 검사할 때 무시하도록하여 검사 시간을 크게 단축시킨다. 이 기능은 리눅스 커널 2.6.24에 구현되어있다.

다중블록 할당
ext4 는 한번에 파일을 위해서 다중블록을 할당한다. 이는 디스크에서 연속된 블록을 할당할 수 있게되어 조각화를 줄인다. 다중블록 할당은 O_DIRECT를 사용할 때 또는 지연할당이 활성화되었을 때 활성화된다. 파일에 대하여 많은 블록이 동시에 쓰여질 수 있도록 한다. 현재 커널에서는 파일시스템에 각 블록은 별도로 할당받도록 되어있다.

타임스탬프의 향상

컴 퓨터가 더 빨라지고 리눅스가 미션크리티컬한 어플리케이션에 많이 사용됨에따라 초 단위의 타임스탬프로는 충분하지 않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ext4는 나노초 단위의 타임스탬프를 제공한다. 또 타임스탬프 필드를  2 bit 확장하여 2038년 문제를 500년 연장시켰다.


Posted by 달리만듦


우분투 9.04, 코드명 Jaunty Jackalope의 정식버전 발표일이 얼마안남았습니다. 어제는 릴리즈 캔디데이트 버전이 발표되었습니다. 지금 다운로드받으면 RC 버전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RC 버전에서는 커널은 2.6.28-11.37을 사용하고, GNOME 2.26을 사용하고요, X.Org 1.6 버전을 사용합니다.

이번 버전의 최대 관심사인 EXT4 파일시스템은 이번 버전에서는 디폴트로 설치되지는 않고 옵션으로 제공한다고 합니다.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받아서 다음 버전에 디폴트 파일시스템으로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겠다고 하네요.

부팅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부팅속도가 현저하게 빨라졌다고 하는데요 이는 정식버전으로 확인해보아야 겠습니다.

그리고, 우분투 CD를 신청하면 무료로 CD를 받아볼 수 있는 서비스가 있는 것은 다들 알고 계시죠?
지금부터 신청하면, 9.04 버전으로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시간은 조금 오래 걸릴 겁니다. 페이지에는 10주 정도라고 써있네요, 웬만하면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받으시고요.

https://shipit.ubuntu.com/ 여기에서 신청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Posted by 달리만듦
우분투 9.04 버전 정식 발표일이 이제 17일 남았습니다.

현재 베타버전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EXT4 파일 시스템은 체감으로는 2배정도 빠른 속도를 보이는 듯 합니다. 보다 빨리 체험하고 싶은 분들은 베타버전을 사용하시겠지만 현재는 비추입니다. 설치보다 업데이트 속도가 몇 배 걸립니다. 그렇다고 업데이트하지않고 사용하기는 찜찜하실 터이니 이왕 기다리시는 거 카운터 달고 며칠만 더 기다리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물론 완전한 안정 버전은 정식버전 발표하고도 몇 번의 업데이트가 있겠지만요.

일단 저는 카운터를 달았습니다.

우분투 고유의 색상으로 총 4가지 카운터를 제공합니다. 

첫번째 카운터입니다.


두번째 카운터입니다.



세번째 카운터입니다.


네번째 카운터입니다.
Ubuntu: For Desktops, Servers, Netbooks and in the cloud


이곳 http://www.ubuntu.com/getubuntu/countdown 에 가면 카운터 코드를 얻을 수 있습니다.



Posted by 달리만듦
우분투 9.04 베타버전이 얼마전에 발표되었고, 이어서 페도라도 11의 베타버전을 발표하였습니다.

이 두 리눅스 배포판은 데스크톱 시스템에서 리눅스 운영체제의 확장에 큰 공헌을 하고 있기에 늘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는 운영체제입니다. 그래서 이리저리 살펴보고 뜯어보고 있지요. 베타버전이라도 설치를 안해볼 수가 없지요.
제대로된 리뷰는 정식 버전이 나오면 진행할 것이고요. 오늘은 베타버전을 설치하고 새로워진 것들을 올려보겠습니다.

우분투 시작화면


우분투 로그인 화면


우분투 데스크톱 바탕화면

나름 세련된 화면입니다.


이어서 페도라 11 베타 버전입니다.

페도라의 시작화면

자세히 살펴보시면 페도라 11이 아니라 페도라 10.92 버전이라고 나타나네요.

페도라 로그인 화면


페도라의 새 데스크톱 바탕화면 '아크로폴리스'


사실 그동안 우분투의 불그죽죽한 화면에 새 한마리 그려져있는 바탕화면은 나름 의미는 있지만 칙칙했었습니다. 설치하고나면 바로 바탕화면을 바꾸었었죠, 이번 바탕화면은 색은 같은 계통을 사용했지만 나름 세련된 바탕화면입니다. 그러나 붉은색 계통은 취향이 아니라서......

반면 페도라 11의 새 바탕화면은 윈도우즈를 흉내낸듯 하네요. 저 푸른 초원위에 그림 엽서에 나올 듯한 신전하며 뒤로는 산, 위로는 푸른하늘과 자유롭게 날고 있는 새들까지, 뭐 페도라 디자이너의 취향이겠지요.

대강 써본 것으로는 아직 EXT4를 기본으로 해서 파일 시스템을 구성하지는 않는 듯 보입니다. 그대로 상당히 빠른 속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우분투 9.04의 경우는 Nvidia의 새로운 버전의 드라이버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고요, 이전버전부터 계속 지적된 부분인데요 설치시 한글을 선택하여 설치해도 한글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습니다. 설치하고 난 다음 언어 설정을 다시해야만 한글 관련 패키지를 제대로 설치합니다.

일부 무선인터넷 드라이버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던 것을 이제는 잘 인식하는 듯 합니다.

이상 간단히 살펴본 우분투 9.04 베타 버전과 페도라 11 베타 버전 사용기였습니다.
이제는 최종 릴리즈를 기다려야 겠네요.

추가 사항
* 우분투 베타는 디폴트로는 ext3으로 설치합니다. 파티션을 설정하는 곳에서 ext4로 바꾸어 설치할 수 있습니다.
* 페도라 베타는 디폴트로 ext4로 설치합니다. 단 boot 파티션은 ext3을 사용합니다.

ext4의 체감속도는 대단합니다. 빨라졌다는 느낌을 체감할 수 있을 정도면, 진짜 빨라진거 맞는 거겠죠.

Posted by 달리만듦
페도라 11의 첫번째 알파 버전이 발표되었습니다.

페도라의 11번째 릴리즈인 Leonidas는 새로운 특징과 많은 업데이트 패키지를 포함할 예정입니다.

EXT4 파일 시스템을 기본 파일 시스템으로 사용합니다.
새로운 GNOME volume control interface를 포함하고 있고, Package firmware를 지원합니다.
페도라 11에는 gNOME 2.26, KDE 4.2, X Server 1.6, Linux kernel 2.6.29 버전이 탑재될 예정입니다.

프로그램을 페도라에서 개발하고 윈도우즈에서 실행시키기를 원하는 크로스 컴파일 개발자를 위하여 MinGW의 프리뷰 버전을 탑재할 예정이다.

페도라 11의 릴리즈 노트는 FedoraProject.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Posted by 달리만듦

2009년 4월 26일 발표 예정인 Uubntu 9.04(Jaunty Jackalope)는 EXT4 파일시스템을 탑재할 예정이다. 그러나 여전히 EXT3 파일시스템을 기본시스템으로 사용하고 EXT4는 수동으로 파티션을 설정할 때 선택할 수 있을 전망이다. EXT4는 9.10 버전에서나 기본파일 시스템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EXT4 파일시스템은 EXT3 파일시스템보다 더 빠르고, 더 안정성이 확보되어있다. EXT4를 사용하면 부팅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고, 16TB 크기의 파일을 다룰 수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기사를 참조하시라.

다음은 9.04 버전의 개발 스케줄이다.

2008년 11월 20일- Alpha 1 release
2008년 12월 18일 - Alpha 2 release
2009년 1월 15일 - Alpha 3 release
2009년 2월 5일- Alpha 4 release
2009년 2월 26일 - Alpha 5 release
2009년 3월 12일 - Alpha 6 release
2009년 3월 26일 - Beta release
2009년 4월 16일 - Release Candidate
2009년 4월 23일 - Final release of Ubuntu 9.04

Posted by 달리만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