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데스크탑과 노트북, 두 대의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다.
현재 노트북에는 Windows 7과 Ubuntu 8.10이 설치되어 있고, 데스크탑 컴퓨터에는 Windows XP와 여분의 파티션이 준비되어 언제든지 다른 OS를 설치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있다. 그리고 XP에는 VMWare와 VirtualBox를 설치하여, 언제든지 다른 OS를 설치해볼 수 있는 환경이다. 물론 OS 자체에도 많은 관심이 있지만, 처음에는 클러스터링에 관심이 많아 다중 OS 환경에서 이것저것 테스트해보느라 시작했던 것이 환경을 이렇게 갖추게 되었다.

오늘은 그동안 사용했던 VMWare나 VirtualBox와 다른 coLinux를 알게되어 이를 테스트해볼 목적으로 설치하게되었다. 사실 coLinux를 알게된 것은 꽤 되었으나 설치하고서 네트웍 설정을 제대로 못하여 제대로 사용해보지 못하다가 이제야 시간이 나서 찬찬히 네트웍부터 다시 설정하였고, 다음에라도 다시 설정할 때를 대비하여 글로 남겨 놓으려 한다.

coLinux는 VMWare나 VirtualBox와 마찬가지로 가상머신이라 보면되겠다. 특이한 것은 가상머신을 설치하고, 거기에 사용자가 OS를 알아서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OS 이미지도 같이 배포한다는 것이다.

coLinux (http://www.colinux.org/) 홈 페이지의  다운로드 링크를 따라가보면, coLinux와 함께 ArchLinux, Debian, Fedora, Gentoo, Ubuntu 등의 OS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링크를 제공한다.

1. 여기서 coLinux와 Fedora를 다운받는다.
2. coLinux를 설치한다.
    설치가 끝나면, 설치 디렉토리에 여러 파일이 복사되어 있을 것이고,  
    제어판 > 네트워크 연결에 TAP-Win32 Adapter가 설치되어 있을 것이다.

3. Fedora의 이미지 압축파일을 coLinux를 설치한 디렉토리에 푼다.
    다른 디렉토리여도 상관은 없다.

이제 example.conf 파일을 이용하여 fedora를 위한 설정을 한다.

4. 파일 시스템
    Fedora-9.img와 swap.img 두 파일을 각각 cobd0와 cobd1에 할당한다.
    Fedora-9.img는 root 파일 시스템으로 사용될 것이고, swap.img는 스왑 파일 시스템으로 사용될 것이다.

cobd0="D:\coLinux\Fedora-9.img"
cobd1="D:\coLinux\swap.img"

5. 메모리
   Fedora에서 사용할 메모리 크기를 설정한다.

mem=128

6. 네트워크 설정
   이부분에서 많은 시행착오가 있었는데......

   현재 PC의 네트워크는 192.168.0.x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다.

   coLinux를 설치하고서 네트워크 연결에 설치된 TAP-Win32 Adaptor에 사용할 네트워크 주소는 다음과 같다.

   ipaddress 10.0.3.10
   netmask   255.255.255.0

   fedora가 사용할 네트워크 주소는 다음과 같다.
   
   ipaddress 10.0.3.20
   netmask   255.255.255.0

  coLinux 내의 eth0에 할당할 네트워크 주소는 다음과 같다.
  
   ipaddress 10.0.2.15
   broadcast 10.0.2.255
   netmask    255.255.255.0
   gateway    10.0.2.2
   nameserver  10.0.2.3

   conf 파일에는 다음과 같이 적는다.
eth0=slirp
eth1=tuntap

이제 TAP-Win32 Adaptor의 TCP/IP 설정 화면을 열어 IP주소와 netmask만 입력한다. gateway와 DNS는 비워둔다.

이제 지금까지 작업한 fedora.conf 파일을 저장하고 coLinux를 이용하여 fedora를 부팅한다.

D:\coLinux>colinux-daemon.exe @fedora.conf

root 계정의 초기 암호는 root다.


네트워크를 설정한다.

먼저 eth0에는 TAP-Win32 Adaptor에 설정한 네트워크 주소를 사용하여 설정한다.

eth1에는 10.0.3.20을 할당한다.

네트워크 서비스를 다시 시작한다.

]# /etc/init.d/network restart

아마도 네트워크가 잘 동작할 것이다.

7. 파티션 확장
다운 받은 Fedora 이미지의 경우 root 파일 시스템이 약 4 GB 정도 할당되어 있다. 이를 넉넉하게 10 GB 정도로 늘려보자.
일단 coLinux의 Fedora를 halt 명령으로 끄고 도스 명령행에서 작업한다. 윈도우즈의 fsutil.exe를 이용하여 10 GB 파일을 생성한다.

D:\colinux>fsutil.exe file createnew d:\colinux\fedora9-10G.img 10737418240

그리고, 지금 root 파일 시스템으로 사용하는 파일을 복사한다.

D:\coLinux>copy Fedora-9.img Fedora-9.backup.img

이제 fedora로 부팅하여 Fedora-9.img는 부팅을 위해 사용하고, Fedora-9.backup.img를 Fedora9-10G.img에 복사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fedora.conf에 이미지 파일을 등록한다.

cobd0="D:\coLinux\Fedora-9.img"
cobd1="D:\coLinux\swap.img"
cobd2="D:\coLinux\Fedora-9.backup.img"
cobd3="D:\coLinux\Fedora9-10G.img"

fedora로 부팅한 후, 장치를 검사한 후 복사한다.

]# e2fsck /dev/cobd2                                // cobd2 장치를 검사한다.
...
...
]# dd if=/dev/cobd2 of=/dev/cobd3             // cobd2 장치를 cobd3 장치에 복사한다.
...
...
]# e2fsck -f /dev/cobd3                            // cobd3 장치를 검사한다.
...
...
]# resize2fs -p /dev/cobd3                       // cobd3 장치의 모든 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확장한다.


이제 다시 fedora를 다운시키고, fedora.conf를 원상복구한다.

cobd0="D:\coLinux\Fedora9-10G.img"
cobd1="D:\coLinux\swap.img"

다시 fedora.conf를 이용하여 coLinux를 실행시킨다. fedora가 제대로 시작된다면, root 파일 시스템이 확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8. nt 서비스로 등록하여 사용

여기까지 설정이 끝났다면, 이제 일일이 도스 창을 열어 실행시키지 말고 서비스로 등록하여 실행시키도록 한다.

이렇게 등록한다.
D:\coLinux> colinux-daemon.exe @fedora.conf --install-service "colinux-fedora"

사용은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할 수 있다.
D:\> net start coLinux-fedora

서비스에서 삭제하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D:\coLinux> colinux-daemon.exe @fedora.conf --remove-service "colinux-fedora"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8.10에 KDE 4.2 설치  (0) 2009.03.11
coLinux에 CentOS 5.2 설치하다  (2) 2009.03.11
우분투 9.04의 새로운 로그인 화면  (3) 2009.02.26
Debian GNU/Linux 5.0 발표  (0) 2009.02.16
페도라 11 알파버전 발표  (0) 2009.02.08
Posted by 달리만듦
바로 앞에 포스팅으로 알려드렸듯이 OpenOffice 3.0이 어제 11월 6일 발표되었다. 이에 이를 다운받아 현재 사용하는 DeskTop OS인 Ubuntu에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만일 사용하는 OS가 Windows라면 굳이 설치과정을 따로 설명하지 않아도 대부분 쉽게 설치할 수 있을 터이지만, Ubuntu를 포함한 Linux OS에서는 아직 설치과정이 조금 복잡하다. 그래도 많이 스크립트화 되어 이전보다는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1. 먼저 OpenOffice 3.0 버전을 다운받는다.

OpenOffice 3.0 버전 다운로드

ubuntu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리눅스 DEB 버전을 다운받아야 한다.

2. 터미널을 실행시켜 command line 에서 다운로드 받은 OpenOffice 패키지의 압축을 푼다.

> cd 바탕화면
> tar xvfz  OOo_3.0.0_LinuxIntel_install_ko_deb.tar.gz


3. 압축을 푼 디렉토리로 옮겨서 update를 실행시킨다.

> cd OOO300_m9_native_packed-1_ko.9358
> sudo ./update


이로써 OpenOffice 3.0 버전이 설치되었다. 하지만 아직 프로그램 메뉴에 등록되어있지 않아 프로그램 사용하기 불편하다. 프로그램 메뉴에 등록하기 위해서는 다음 과정까지 진행해야 한다.

4. 프로그램 메뉴에 등록한다.

> cd DEBS/desktop-integration
> sudo dpkg -i openoffice.org3.0-debian-menus_3.0-9354_all.deb

 
이제 다음 화면과 같이 프로그램 메뉴에 OpenOffice 3.0 프로그램들이 등록되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Posted by 달리만듦

우리시간으로 10월 30일 데스크탑용 리눅스 OS인 우분투의 8.10 버전이 발표되었다.

우선 간단하게 8.10버전을 설치해보았다.

 

다음은 설치화면이다.

 

처음 화면에서 한국어를 선택하면 바로 설치 시작화면이다.

 

사용할 시간대를 선택한다.

 

사용하는 키보드 레이아웃을 선택한다.

 

디스크 파티션을 나눈다.

수동을 선택하면 파티션을 고민하여 나눌 수 있다.

자동을 선택하면 사용할 하드 디스크를 전체를 하나의 파티션으로 잡아서 우분투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등록을 한다.

다른 계정은 설치 후에 추가할 수 있다.

 

설치 준비가 끝났다.

선택 사항을 확인하고 설치버튼을 누르면 설치가 시작된다.

 

설치 중이다.

 

설치를 마쳤으면 리부팅.

 

리부팅을 하면 맨 먼저 점검해야 할 것은 그동안 업데이트 된 것이 있는지이다.

시스템 업데이트를 통해서 자동으로 감지되어 업데이트를 설치할 것이 권유되기도 한다.

갓 발표된 버전임에도 6개의 업데이트가 있단다.

이것 역시 설치한다.

 

시스템에 관련된 업데이트를 설치했으므로 다시 리부팅한다.

 

이것으로 우분투 설치는 끝났지만, 그대로 사용하기에 2% 부족하다.

제일 먼저 할 일은 플래시 플러그인 설치

대부분의 웹 페이지서 구현된 플래시로 된 이미지, 동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파이어폭스를 이용하여 플래시 미디어가 구현된 페이지로 옮기면 플러그인 설치화면이 나타난다.

여기서 자동으로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다.

 

다음은 한글 입력기 설정

우분투의 가장 큰 문제점이 바로 한글이다. 한국어를 기본으로 하여 설치해도 SCIM의 한글 입력기를 제대로 설치하지 못한다. 그래서 몇 가지를 건드려 주어야 한다.

이번 버전에서는 그나마 조금 진전이 보인 듯 했는데, 역시 한영 전환에 문제가 좀 있다.

한글 입력을 제대로 바로잡기 위해서는 다음의 절차로 몇 가지 파일을 설치해야 한다.

우선 시스템 > 관리 > 언어 를 선택하여

지원가능한 언어 중에서 한국어,

기본 언어는 한국어로 선택한다.  이미 선택되어 있더라도 다시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다음으로는 시스템 > 기본설정 > SCIM 입력기 설정을 선택하여 SCIM 입력기에 관한 설정을 한다.

우선 전체 설정

전체 설정의 전환키를 Shift-space만 나두고 모두 삭제한다.

 

다음으로 한글의 자판을 선택하고 - 저는 세벌식을 사용하므로 세벌식 390을 선택

한글 키로 역시 Shift-space만 나두고 모두 삭제한다.

확인을 누르고 SCIM을 다시 실행하면

Shift-space를 사용하여 한영 전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간단하게나마 오늘 발표된 우분투 8.10 버전을 설치하고

한글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몇 가지를 손 보았다.

시간이 나는대로 우분투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몇 가지 더 써보도록 할 것이다.

뱅킹, 쇼핑 시 결재 문제만 아니라면 우분투는 아주 훌륭한 Windows의 대안이 될 것이다.

Posted by 달리만듦

Ubuntu Stdio 8.04의 기본 시스템 설치에 대해서는 이전 문서인 Ubuntu Studio 8.04 설치 - 1을 보면 된다. 여기서는 기본 시스템 이외에 여러 가지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도록 하겠다. 이 과정이 끝나면 윈도우즈 부럽지않은 리눅스 데스크탑 OS를 가지게 될 것이다.

Opera 나 Adobe Reader와 같은 패키지는 표준 우분투 리포지터리로부터는 설치할 수 없다. 이들 패키지를 설치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Medibuntu 리포지터리와 hardy partner 리포지터리를 추가하는 것이다.

시스템 > 관리 >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를 선택하여 Synaptic Package Manager를 실행시킨다.

암호를 입력한다.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에서 분류 > 저장소를 선택한다.

소프트웨어 소스 창에서 써드 파티 소프트웨어 탭을 선택하고, hardy partner 리포지터리를 선택한다.

Medibuntu 리포지터리를 추가하려면, 추가 버튼를 누른다. 다음을 입력하고 소스 추가 버튼을 누른다.

deb http://packages.medibuntu.org/ hardy free non-free

소스를 추가하고 닫기 버튼을 누르면, 리포지터리 정보가 바뀌었으므로 다시읽기 버튼을 눌러야 한다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다시읽기를 누르면, 리포지터리 정보를 다시 읽어 소프트웨어 패키지 정보를 다시 구성한다.

GPG 에러가 발생하지만 심각한 오류는 아니므로 무시한다.

이제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에서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다음 패키지를 검색하여 설치한다.

  • opera
  • flashplugin-nonfree
  • filezilla
  • thunderbird
  • evolution
  • amule-utils-gui
  • amule
  • azureus
  • bittornado-gui
  • xchat-gnome
  • gnucash
  • skype
  • googleearth
  • acroread*
  • mozilla-acroread
  • openoffice.org
  • amarok
  • banshee
  • mplayer*
  • mozilla-mplayer
  • rhythmbox
  • gtkpod-aac
  • xmms2*
  • dvdrip
  • sound-juicer
  • vlc*
  • gstreamer*
  • helix-player
  • mozilla-helix-player
  • xine-ui
  • xine-plugin
  • non-free-codecs
  • msttcorefonts
  • libdvdcss2
  • k3b
  • kompozer
  • bluefish
  • quanta
  • sun-java6* (except sun-java6-doc)

이 외에도 필요한 패키지가 있다면 선택하여 설치하면 된다.

다음은 검색하여 설치하는 과정이다.

검색을 눌러 원하는 패키지를 검색한다.

검색된 패키지를 선택하여 설치표시를 선택한다.

설치를 표시하면 추가로 필요한 패키지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

설치 표시가된 패키지는 연두색으로 표시된다.

설치하고자하는 패키지를 모두 선택하였으면, 적용 버튼을 눌러 설치를 시작한다.

적용 버튼을 누르면 선택된 패키지를 다운받는다.

다운로드가 끝나면 자동으로 설치된다.

설치가 끝나면, 변경사항을 적용했다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Posted by 달리만듦

Windows를 대체할 만한 OS로 Ubuntu Studio 8.04를 설치해보았다.

Ubuntu Studio는 Ubuntu에 멀티미디어 기능을 극대화시킨 버전이다.  Ubuntu Studio는 GNU/Linux 오디오, 비디오, 그래픽에 광적인 사람뿐만아니라 프로페셔널을 겨냥하고 있다.

멀티미디어를 생산하기 위한 최선의 오픈소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면서도 완전히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수정하거나 재배포도 자유롭다.


다운로드

http://ubuntustudio.org/download에서 iso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는다. 다운로드받은 이미지를 DVD로 굽고, 이를 컴퓨터의 DVD 드라이브에 넣고 부팅한다.


설치에 사용한 언어를 선택한다.

Install Ubuntu Studio를 선택한다.

사용할 키보드 레이아웃을 선택한다.

몇 개의 키를 누르면 설치프로그램이 키보드 레이아웃을 감지한다.

설치프로그램이 설치 DVD와, 하드웨어를 검사하고, DHCP 등 네트웍을 설정한다.

네트웍에서 사용할 호스트 명을 입력한다.

디스크 파티션을 나눈다.

"자동 - 디스크 전체 사용"을 선택하면, 디스크 전체를 하나의 파티션으로 잡고 /에 마운트한다.

"수동으로"를 선택하면 파티션을 직접 나눌 수도 있다.

파티션을 나눌 디스크를 선택한다.

 

파티션을 나누기 전에 적용할 것인지를 확인한다.

파티션을 나누고, 포맷 과정이 끝나면 Base System을 설치한다.


사용자 계정과 암호를 생성한다.

먼저 이름을 입력하고,

 

계정 id를 입력한다.

마지막으로 암호를 입력한다.

패키지 매니저(꾸러미 관리자)를 위한 프록시 정보를 설정한다.

프록시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비워둔다.

설치할 소프트웨어를 선택한다.

UTC를 선택하면 시스템 시계를 OS의 local time으로 사용한다. 시스템에 하나 이상의 OS가 설치되어있지 않다면 UTC를 선택한다.

설치가 끝났다. 이제 DVD를 제거하고 리부팅한다.

다음은 Ubuntu Studio 8.04의 로그인 화면이다.

Posted by 달리만듦

과거 리눅스를 설치하는 일은 상당한 결심을 필요로 했다. 설치하고서 제대로 사용하기 위한 설정 작업이 설치 작업보다 더 시간을 많이 잡아먹고, 까딱하다간 1주일 정도를 씨름해야 겨우 사용할 만한 상태로 만들 수 있었기 때문이다.

현재는 리눅스를 설치하는 것은 오히려 윈도우즈를 설치하는 것 보다 수월하다. Live CD를 사용하면 설치하지 않고도 리눅스 시스템을 사용해 볼 수도 있다.

오늘부터 두번에 걸쳐서 데스크탑 환경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Fedora 9을 설치하는 방법을 쓸려고 한다. 오늘은 Fedora 9을 설치하는 방법을, 내일은 Fedora 9을 위한 몇 가지 프로그램 설정 방법을 올릴 것이다.

참고로 설치는 VirtualBox를 이용한 가상머신에 설치한 것이다.

먼저
http://fedoraproject.org/get-fedora.html 이곳에서 설치 DVD를 구한다.

DVD를 넣고 새로 부팅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으로 설치를 시작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맨 처음 메뉴를 선택하면 그래픽 환경으로 새로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치 전에 DVD를 테스트하기 위함이다. 여기서는 Skip을 선택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래픽 환경이 시작되면 Next 버튼을 눌러 설치 작업을 시작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치 과정을 어떤 언어로 진행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자신있는 언어를 선택하면 되겠다. 저는 무조건 한국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할 키보드를 선택한다. 역시 한국어 키보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마도 새로운 시스템이 아니면 볼 수 없는 경고 박스다.
하드 디스크에 파티션이 설정되어있지 않으면 나타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스템에서 사용할 네트워크 장치를 설정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스템 시계를 맞추기 위해서 도시를 선택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root 계정 암호를 설정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치할 하드 디스크를 선택하고, 파티션을 설정한다.
여기서는 Fedora 9에서 제시하는 디폴트 값을 그대로 이용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파티션을 설정하면 기존 데이터를 잃을 수 있다는 경고 메시지 박스다.
여기까지 왔다가 그만 두어도, 기존 데이터는 잃지않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까지 왔다면, 기존 데이터는 잃어버린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치하는 시스템을 어떤 용도로 사용할 것인지를 설정한다.
데스크탑 용도이므로 사무와 생산선 만 선택한다.
만약 개발이나 웹 서비스 용도라면 나머지도 선택해야 하지만... 이에 대해서는 시간을 내어 다시 글을 쓰도록 하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서는 설치옵션으로 초기 설치 작업 때 같이 설치할 패키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하지 않아도, Fedora를 사용하면서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고, 삭제할 수도 있다. 빠른 설치를 위해서 꼭 필요한 패키지만 설치하도록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른 패키지는 몰라도, 언어에서 한국어 지원은 꼭 선택하시기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제 설치를 시작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제 선택한 패키지를 설치하기 시작한다.
가사머신인 관계로 시간이 꽤 걸려 설치한다. 하지만, 가상머신이 아닌 환경에서는 빠른 설치일 것을 기대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로써 설치가 끝났다. 재부팅 버튼을 누르면 시스템이 부팅되면서 새로운 버전의 Fedora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Posted by 달리만듦
지난 4월 30일 VirtualBox 1.6.0 버전이 릴리즈되었습니다.

설치에 필요한 Hosts OS

Windows
  - Windows XP, all service packs (32-bits)
  - Windows Server 2003 (32-bits)
  - Windows Vista (32-bits and 64-bits)

Apple Mac OS X (Intel only)
Linux
  - Debian GNU/Linux 3.1, 4.0
  - Fedora Core 4 ~ 8
  - Gentoo Linux
  - Redhat Enterprise Linux 3 ~ 5
  - SUSE Linux 9, 10
  - openSUSE 10.1 ~ 10.3
  - Ubuntu 5.10, 6.06, 6.10, 7.04, 7.10
  - Mandriva 2007.1, 2008.0

Solaris
  - openSolaris
  - Solaris 10

설치에 필요한 Guest OS

Windows NT 4.0
Windows 2000 / XP / Server 2003 / Vista
DOS / Windows 3.x / 95 / 98 / ME
Linux 2.4
Linux 2.6
Solaris 10, OpenSolaris
FreeBSD, OpenBSD
OS/2 Warp 4.5

Windows Hosts에 설치

다운로드 받은 .msi 파일을 더블클릭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가지 달라진 것은 Innotek가 아닌 Sun에서 만든 것으로 나온다. 지난 2월 초에 Sun이 Innotek을 인수하였다. 그리하여 과거 Innotek VirtualBox라는 이름이 Sun xVM VirtualBox라는 이름으로 발표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USB와 네트웍 장치 드라이버를 설치할 것인지를 선택하고, 설치할 디렉토리를 선택한다.

USB 지원 : 여기에는 가상머신에서 USB 장치를 완전하게 지원하기 위한 특별한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Networking : 여기에는 가상머신의 가상 네트웍카드를 다른 머신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
         필요한 별도의 네트웍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치를 마치면, 다음과 같이 Windows XP 호환성 확인을 위한 Windows 로고 테스트를 통과하지 않았다는 경고 창이 출력된다. 무시하고 계속 버튼을 누르면 무사히 설치를 마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로써 설치 과정을 마쳤습니다.

필요한 가상머신을 만들고, 그곳에 필요한 OS를 설치하여 가상머신을 활용하시면 됩니다.

VirtualBox는 이곳에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Posted by 달리만듦

윈도우즈 환경에서 우분투를 쉽게 인스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Wubi는 윈도우즈 사용자를 위한 간단한 우분투 설치 프로그램입니다.

CD를 구울 필요도 없습니다. 계정과 암호를 입력하고 "install" 버튼만 클릭하면 인스톨이 됩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윈도우즈를 그대로 유지합니다. 단지 우분투로 부팅할 수 있는 옵션이 추가될 뿐입니다.
현재 PC의 파티션을 새로 나눌 필요도 없습니다. 또, 다른 부트로더를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리고 다른 드라이브에 설치하지도 않습니다. 마치 다른 어플리케이션 처럼 작업합니다.

Wubi는 하나의 폴더로 파일을 유지합니다. 우분투를 원하지 않으면 다른 어플리케이션 처럼 간단하게 삭제할 수 있습니다.

우분투와 마찬가지로 공짜입니다.

Wubi 다운로드

다음은 Wubi를 소개하는 Linux World의 동영상입니다. 참조하시고요.



 

Posted by 달리만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