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자 제 우분투의 크로미움 브라우저 버전의 업데이트를 보면, 구글 크롬의 리눅스 버전이 정식 발표가 멀지 않았다는 느낌입니다.

현재 오늘 현재 제 우분투의 크로미움 브라우저는 4.0.203.0(23815) 입니다.



그냥 실행하면, 아직 플래시 등 플러그인이 포함된 웹 페이지를 제대로 표시하지 못합니다.
실행시킬 때 --enable-plugins 옵션을 붙여서 실행하면, 플래시 플러그인을 제대로 표시합니다. youtube 등에서 플래시 동영상도 제대로 볼 수 있습니다.



우분투에서 크로미움 브라우저를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거의 매일 새로운 버전으로 업데이트됩니다.

2009/04/13 - [리눅스] - 우분투에 오픈소스 크로미움 브라우저 설치

현재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글 크롬은 아직 베타버전으로 4.0.202.2 버전입니다.


현재의 베타버전으로는 아직 플래시 비디오를 볼 수는 없습니다.



유투브를 방문하면, 최신 플래시 플레이어를 다운로드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합니다.

구글 크롬의 개발자 버전은 http://dev.chromium.org/getting-involved/dev-channel 이곳에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자 크로미움 버전에서 플래시 비디오가 제대로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으니 며칠 안에 구글 크롬에도 적용되리라 봅니다.

이제 리눅스에서도 구글 크롬을 기본 브라우저로 사용할 날이 멀지않았습니다.

Posted by 달리만듦
레드햇(Redhat)이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Georgia Tech)의 연구를 근거로 하여 전 세계의 오픈소스 인덱스(Open source Index, OSI) 지도를 발표했습니다. OSI는 75 개국의 오픈 소스 활동과 환경을 측정한 것으로, 각 국가의 오픈소스에 대한 정책과 실제 사용에 기반하여 점수를 부여하고, 정부, 산업, 커뮤니티 등에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점수를 부여한 것입니다.

아래는 오픈소스 활동을 평가한 것으로 한국은 20위를 차지했습니다.



아래는 오픈소스 환경을 평가한 것으로 한국은 12위를 차지했습니다.

그러나 그림을 보시면 우리나라 표시에 태극기가 아닌 북한의 국기를 표시해놓았군요!

국기 표시도 문제지만, 우리나라에 대한 평가도 문제가 있는 듯 보입니다.
오픈소스 활동 평가를 보면, 정부는 75 개국 중 5위를, 산업은 41위를, 커뮤니티는 26위로 평가되었는데요, 이게 어떤 근거인지 모르겠습니다. 우리나라 정부기관에서 오픈소스 활동을 75 개국 중 5위를 차지할 정도로 열심히 하고 있는 것이 맞는 지 한번 생각해 보아야 할 듯 합니다. 정부기관에서 직접 사용하는 오픈소스는 리눅스 정도가 아닐까요? 오히려 민간기업에서는 그나마 웹 서비스를 하는 입장이라면 리눅스, MySQL, 아파치, PHP 등의 오픈소스를 활발히 사용하겠지만요. 개인은 리눅스나 파이어폭스 등 오픈소스를 사용하고 싶어도 여러 제약조건 때문에 사용이 어려운 형편인데......

위 기사는 이곳 http://www.redhat.com/about/where-is-open-source/activity/ 에서 원본을 볼 수 있습니다. 방문해보시고, Redhat 측에 국기 바꿔달라고 요청들 해주세요.
Posted by 달리만듦

Sun Microsystems사는 12월 8일 가장 대중적인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인 MySQL의 새로운 메이저 버전인  MySQL 5.1을 릴리즈했습니다.

이번 5.1 버전에서는 퍼포먼스가 더욱 향상 되었고,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관리를 단순화했다고 합니다.

MySQL 5.1은 dev.mysql.com/download에서 다운로드받을 수 있습니다.

MySQL 5.1의 릴리즈 소식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MySQL news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달리만듦
지난 4월 30일 VirtualBox 1.6.0 버전이 릴리즈되었습니다.

설치에 필요한 Hosts OS

Windows
  - Windows XP, all service packs (32-bits)
  - Windows Server 2003 (32-bits)
  - Windows Vista (32-bits and 64-bits)

Apple Mac OS X (Intel only)
Linux
  - Debian GNU/Linux 3.1, 4.0
  - Fedora Core 4 ~ 8
  - Gentoo Linux
  - Redhat Enterprise Linux 3 ~ 5
  - SUSE Linux 9, 10
  - openSUSE 10.1 ~ 10.3
  - Ubuntu 5.10, 6.06, 6.10, 7.04, 7.10
  - Mandriva 2007.1, 2008.0

Solaris
  - openSolaris
  - Solaris 10

설치에 필요한 Guest OS

Windows NT 4.0
Windows 2000 / XP / Server 2003 / Vista
DOS / Windows 3.x / 95 / 98 / ME
Linux 2.4
Linux 2.6
Solaris 10, OpenSolaris
FreeBSD, OpenBSD
OS/2 Warp 4.5

Windows Hosts에 설치

다운로드 받은 .msi 파일을 더블클릭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가지 달라진 것은 Innotek가 아닌 Sun에서 만든 것으로 나온다. 지난 2월 초에 Sun이 Innotek을 인수하였다. 그리하여 과거 Innotek VirtualBox라는 이름이 Sun xVM VirtualBox라는 이름으로 발표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USB와 네트웍 장치 드라이버를 설치할 것인지를 선택하고, 설치할 디렉토리를 선택한다.

USB 지원 : 여기에는 가상머신에서 USB 장치를 완전하게 지원하기 위한 특별한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Networking : 여기에는 가상머신의 가상 네트웍카드를 다른 머신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
         필요한 별도의 네트웍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치를 마치면, 다음과 같이 Windows XP 호환성 확인을 위한 Windows 로고 테스트를 통과하지 않았다는 경고 창이 출력된다. 무시하고 계속 버튼을 누르면 무사히 설치를 마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로써 설치 과정을 마쳤습니다.

필요한 가상머신을 만들고, 그곳에 필요한 OS를 설치하여 가상머신을 활용하시면 됩니다.

VirtualBox는 이곳에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Posted by 달리만듦
블로그를 읽으면서 가장 필요한 것은 바로 RSS 리더입니다.
HanRSS나 Google Reader 등 Web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리더도 있고, Outlook도 RSS 리딩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오늘 소개할 RSS 리더는 RSSowl 입니다.
소 프트웨어의 기반은 특이하게도 개발자들이 즐겨 사용하는 Eclipse 입니다. Eclipse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java 개발 툴입니다. 처음에는 java 개발 환경을 위해서 만들어졌지만, 오픈소스 프로젝트이고, 다양한 사용자들의 필요에 의해서 C, C++ 개발 환경, PHP 개발 환경, Goory, Python 개발 환경 등이 만들어져 개발자들이 선호하는 개발환경입니다.
이러한 확장이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쪽으로 확장된 결과가 바로 RSSowl 입니다.
http://www.rssowl.org/  에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는 RSSowl 2.0 M8 버전이 최종버전입니다. Windows, Linux, Mac 등의 OS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별도의 설치는 필요없고, 다운로드하여 압축을 해제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치를 하면 RSSowl 측에서 이미 저장해둔 다양한 RSS 사이트들이 있어 바로 읽으실 수 있습니다.
새로운 RSS 사이트를 추가하려면 왼쪽 카테고리 박스에 마우스 포인터를 두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인터페이스나 나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New / Bookmark 를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대화상자가 출력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곳에 RSS 주소를 넣고 Finish 버튼을 누르면 사이트가 추가됩니다.

한가지 팁, RSS 주소를 Ctrl-C로 클립보드에 복사하고 바로 대화상자를 띄우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그러면 RSSowl와 함께 즐거운 블로깅되세요.

RSSowl 다운로드
Posted by 달리만듦

마인드 맵을 그리는 FreeMind


마인드맵은 중심 키워드에 대하여 방사형으로 관련된 낱말, 생각, 작업 또른 관련된 다른 아이템의 링크를 늘어놓는 다이어그램이다. 마인드맵은 생각을 만들어내고, 표현하고, 구조화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마인드맵은 학습, 문제해결, 의사결정, 글쓰기 등에 응용할 수 있다.


다음은 손으로 그린 마인드 맵의 한 예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FreeMind는 이러한 마인드맵을 컴퓨터를 통해서 그릴 수 있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다.


다음은 FreeMind로 나의 개인블로그 메뉴 방안을 생각나는 대로 적어본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FreeMindhttp://freemind.sourceforge.net/wiki/index.php/Download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MS Windows, Mac OS X, Linux 등 에 대해 Binary 설치 파일이 준비되어 있으니, 자신의 OS에 알맞는 파일을 선택하여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면 된다.

FreeMind 0.8.0 버전 이상을 사용하려면 Java Runtime Environment(JRE) 1.4 이상의 버전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JREhttp://java.com/download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Posted by 달리만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