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전에 "윈도우즈에서 coLinux를 사용하여 Fedora 사용하기"란 포스팅을 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fedora에 만족을 못하고 CentOS를 깔아보자는 생각이 들었다.

어찌하면 CentOS를 깔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구글링을 해보았다. 여러 사람들이 coLinux에 CentOS를 설치하기 위해서 노력한 흔적을 볼 수 있었다. 그 중 일본의 한 블로거가 올린 QEMU와 cygwin을 이용하는 방법을 따라 해보았지만, 다른 리눅스 배포본은 설치되었는데 유독 CentOS만은 설치되지 않았다. CentOS말고 다른 배포본을 원하시는 분들은 QEMU와 cygwin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무난히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구글링하다가 coLinux 0.7.1 버전을 가지고 CentOS 5.2를 설치하는 installer를 제작하여 제공하는 사이트를 찾게되었고, 이를 잘 정리한 블로거를 알게되었다. 이를 이용하여 CentOS 5.2를 설치하고 다시 coLinux를 0.7.3으로 업그레이드하여 사용하는 데 성공하였다. 여기에 이 두 사이트를 소개하고, 그 과정을 정리한다.



1. 먼저 coLinux 0.7.1 버전을 구하여 설치한다.


TAP만 사용할 것이므로 SLiRP나 WinPcap 등은 선택하지 않는다.
따로 CentOS를 설치할 것이므로 Root Filesystem image Download도 선택하지 않는다.


TAP-Win32 Adapter 설치를 위해서 "계속"을 선택한다.

 


2. XMLinux 사이트에서 
coLinux 用 インストーラ (2008-06-12) 페이지를 방문하여 coLinux-installer-20080115.zip을 다운로드받아 압축을 푼다.

압축을 풀 때 아마도 일본어로된 파일이름 때문에 압축이 에러가 날 수 있다. 압축파일내의 파일이름을 수정할 수 있는 유틸리티를 이용하여 수정하고 난 뒤 압축을 풀면 에러없이 잘 풀 수 있다. 저는 7-zip을 사용하였습니다.

coLinux CentOS5 귽깛긚긣?깑.hta 을 coLinux CentOS5.hta 로 수정한 후 압축을 푼다.

압축을 푼 후, coLinux CentOS5.hta 파일의 일부를 수정한다.
파일을 notepad 등 텍스트 편집기로 열어 service_name을 찾아 "coLinux - CentOS 5.1"을 "coLinux - CentOS 5.2"로 바꾼다.


3. Vine Linux 사이트를 방문하여 버전 3.2의 stage2.img 파일을 다운로드받는다. 다운받은 파일은 coLinux-installer-20080115 디렉토리에 넣어둔다.

4. CentOS 5.2 배포판 CD 이미지를 준비한다.
XMLinux의 인스톨러는 coLinux는 0.7.1 버전을 사용하고, CentOS는 5.1 버전을 사용하지만, CentOS를 5.2 버전을 사용해도 잘 설치되었다. 그러므로 다시 버전업할 수고를 덜기 위하여 CentOS 5.2 버전을 사용한다. 그리고 DVD 이미지는 지원하지 않으므로 CD 이미지로 6장을 모두 다운로드 받아 준비한다.
위 스크립트에서 알수 있듯이 CentOS 5.1을 위한 스크립트다 그러므로 CentOS 5.2를 사용하려면, 파일이름에 5.2를 살짝 5.1로 바꾸어준다.

이제
D:\coLinux 에는 colinux 0.7.1 버전이 설치되어 있고,
D:\coLinux-installer-20080115 에는 XMLinux에서 다운받은 coLinux-installer-20080115.zip의 압축이 풀려있고, Vine Linux 3.2 버전의 stage2.img 파일을 다운받아 놓았다.
D:\coLinux-installer-20080115\iso 에는 CentOS 5.2 배포판의 CD 이미지파일을 다운받아 놓았다.

5. 이제 coLinux CentOS5.hta를 클릭하여 실행한다.

디렉토리와 파일 시스템을 설정한다.

coLinux가 설치되어있는 디렉토리,
CentOS 5.2의 CD 이미지가 들어있는 디렉토리를 설정한다.

CentOS 설치에 이용할 루트 파일 시스템용을 4GB로, 스왑 파일 시스템용 500MB로 지정하였다.

나머지는 설정은 모두 무시하였다.
그리고는 "coLinux 起動" 버튼을 눌러 설치를 시작한다.

설치가 시작되면 도스창과 유사한 창이 출력된다.

Please press Enter to activate this console.

init: Bummer, can't write to log on /dev/vc/5!
Starting pid 14, console /dev/tty1: '/bin/sh'

BusyBox v1.00-rc3 (2004.08.19-21"10+0000) Built-in shell (ash)
Enter 'help' for a list of built-in command.

#

프롬프트에서 " . $i"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입력하면  파일 시스템을 만들고, 초기화하는 과정을 거치고, CentOS의 파일을 설치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 . $i

다음 문구가 출력되면 설치가 끝난 것이다. 엔터키를 누르면 창이 사라진다.
Please press Enter to halt.

6. conf와 실행 스크립트 작성
설치가 끝나면 coLinux의 conf 파일을 작성한다.
관련 디렉토리는 이미 지정이 되어있고, 사용할 메모리를 입력한다.
"작성" 버튼을 누르면 coLinux-installer-20080115 디렉토리에 텍스트 파일이 생성되어 있다.

실행 스크립트는 디렉토리를 지정하고, "작성"을 누르면, 실행 스크립트를 생성한다.


이제 생성된 실행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CentOS 5.2가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대로 네트워크를 설정하여 그대로 사용해도 좋고, coLinux 0.7.1은 제거하고 coLinux 0.7.3을 설치하여 사용해도 된다. 네트워크 등 설정하는 부분은 이전에 포스팅한 윈도우즈에서 coLinux를 사용하여 Fedora 사용하기를 참조하면 되겠다.

그리고 원 저자인 bufferings 블로그를 방문하시면, CentOS에 GNOME을 설치하고 VNC를 이용하여 GUI 환경을 사용하는 방법까지 잘 설명이 되어 있으니 참조하시기 바란다.
Posted by 달리만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