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이전 데스크탑 환경으로 사용하기 위한 Fedora 9 설치 방법 - 1 기사에 이어서 추가 설치가 필요한 몇 가지 유용하게 쓰일만한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사전 작업

livna yum 리포지터리 추가

livna-repository는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ATI, NVIDIA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등 다양한 패키지를 제공한다. 물론 fedora-repository와 100% 호환된다.

rpm -ivh http://rpm.livna.org/livna-release-9.rpm

Adobe 리포지터리 추가

Adove Reader와 firefox를 위한 flash plugin을 설치하기 위해서 Adobe 리포지터리가 필요하다.

rpm -ivh http://linuxdownload.adobe.com/adobe-release/adobe-release-i386-1.0-1.noarch.rpm

패키지 설치

다음부터 설명하는 각각의 소프트웨어에서 패키를 설치해야 한다고 하면 다음과 같이 설치하면 된다.

yum install 패키지명

그리고 패키지 제거는 다음과 같이 한다.

yum remove 패키지명

그러면, 소프트웨어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1. Adobe Flash Player

홈페이지 : http://www.adobe.com/products/flashplayer/

FireFox에서 flash plugin을 사용하려면, 다음 패키지를 설치해야 한다.

  • flash-plugin
  • libflashsupport

설치 후 FireFox를 재시작하면 flash plugin을 사용할 수 있다.


2. Adobe Acrobat Reader

홈 페이지 : http://www.adobe.com/products/reader/

PDF 파일을 읽기 위해서는 Adobe Reader가 필요하다.

Abode Acrobat Reader를 설치하기 위해서 다음 패키지를 설치한다.

  • AdoveReader_enu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Microsoft의 True Type Core 폰트

  Arial, Times New Roman 등의 몇 가지 폰트를 설치한다.

  폰트를 설치하기 위해서 폰트를 다운로드하고, 패키지를 빌드하고, 설치해야 한다.

  다음을 순서대로 하면 되모, root 권한이 필요하다.

cd /tmp/
wget http://corefonts.sourceforge.net/msttcorefonts-2.0-1.spec
yum -y install rpm-build cabextract
rpmbuild -bb msttcorefonts-2.0-1.spec
rpm -ivh /usr/src/redhat/RPMS/noarch/msttcorefonts-2.0-1.noarch.rpm --nodeps


4. W32codecs

  MS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또는 몇 가지 비디오 포맷을 위해서 별도의 코덱이 필요하다.

cd /tmp/
wget http://www.mplayerhq.hu/MPlayer/releases/codecs/all-20071007.tar.bz2
tar xfvj all-20071007.tar.bz2
mkdir /usr/lib/codecs/
cp all-20071007/* /usr/lib/codecs/
ln -s /usr/lib/codecs/ /usr/lib/win32

 또, DVD를 보려면 다음 패키지를 설치해야 한다.

  • libdvdcss

5. MPlayer

  홈 페이지 : http://www.mplayerhq.hu/

  MPlayer는 MPEG/VOB, AVI, Ogg/OGM, VIVO, ASF/WMA/WMV, QT/MOV/MP4, RealMedia, Matroska, NUT, FLI, YUV4MPEG, FLIM, RoQ, PVA 등 알려진 대부분의 비디오 포맷을 지원하는 비디오 플레이어이다.

다음 패키지를 설치한다.

  • mplayer
  • mplayer-gui
  • gecko-mediaplayer

6. Azureus

  홈 페이지 : http://azureus.sourceforge.net/

  Azureus는 쉽게 사용할 수 있는 bittorrent 클라이언트다.

  다음 패키지를 설치한다.

  •   azureus

사용자 삽입 이미지

7. Filezilla
    홈 페이지 : http://filezilla-project.org/

    filezilla는 FTP, SFTP, FTPS, FTPES 등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ftp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다.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하나로 윈도우즈에서도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다.

  • filezilla
사용자 삽입 이미지

8. gparted

  홈 페이지 : http://gparted.sourceforge.net/

  gparted는 하드디스크 파티션에 대해서 크기를 수정하거나, 파티션을 옮기거나, 파티션에 대해서 포맷할 수 있다. 여러 가지 파일 시스템을 지원한다.

  • gparted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음은 gparted에서 지원하는 파일시스템과 각 파일시스템에의 가능한 작업 내용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9. unrar

  rar 확장자를 사용하는 압축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는 패키지다.
 

  • unrar

Posted by 달리만듦

과거 리눅스를 설치하는 일은 상당한 결심을 필요로 했다. 설치하고서 제대로 사용하기 위한 설정 작업이 설치 작업보다 더 시간을 많이 잡아먹고, 까딱하다간 1주일 정도를 씨름해야 겨우 사용할 만한 상태로 만들 수 있었기 때문이다.

현재는 리눅스를 설치하는 것은 오히려 윈도우즈를 설치하는 것 보다 수월하다. Live CD를 사용하면 설치하지 않고도 리눅스 시스템을 사용해 볼 수도 있다.

오늘부터 두번에 걸쳐서 데스크탑 환경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Fedora 9을 설치하는 방법을 쓸려고 한다. 오늘은 Fedora 9을 설치하는 방법을, 내일은 Fedora 9을 위한 몇 가지 프로그램 설정 방법을 올릴 것이다.

참고로 설치는 VirtualBox를 이용한 가상머신에 설치한 것이다.

먼저
http://fedoraproject.org/get-fedora.html 이곳에서 설치 DVD를 구한다.

DVD를 넣고 새로 부팅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으로 설치를 시작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맨 처음 메뉴를 선택하면 그래픽 환경으로 새로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치 전에 DVD를 테스트하기 위함이다. 여기서는 Skip을 선택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래픽 환경이 시작되면 Next 버튼을 눌러 설치 작업을 시작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치 과정을 어떤 언어로 진행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자신있는 언어를 선택하면 되겠다. 저는 무조건 한국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할 키보드를 선택한다. 역시 한국어 키보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마도 새로운 시스템이 아니면 볼 수 없는 경고 박스다.
하드 디스크에 파티션이 설정되어있지 않으면 나타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스템에서 사용할 네트워크 장치를 설정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스템 시계를 맞추기 위해서 도시를 선택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root 계정 암호를 설정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치할 하드 디스크를 선택하고, 파티션을 설정한다.
여기서는 Fedora 9에서 제시하는 디폴트 값을 그대로 이용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파티션을 설정하면 기존 데이터를 잃을 수 있다는 경고 메시지 박스다.
여기까지 왔다가 그만 두어도, 기존 데이터는 잃지않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까지 왔다면, 기존 데이터는 잃어버린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치하는 시스템을 어떤 용도로 사용할 것인지를 설정한다.
데스크탑 용도이므로 사무와 생산선 만 선택한다.
만약 개발이나 웹 서비스 용도라면 나머지도 선택해야 하지만... 이에 대해서는 시간을 내어 다시 글을 쓰도록 하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서는 설치옵션으로 초기 설치 작업 때 같이 설치할 패키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하지 않아도, Fedora를 사용하면서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고, 삭제할 수도 있다. 빠른 설치를 위해서 꼭 필요한 패키지만 설치하도록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른 패키지는 몰라도, 언어에서 한국어 지원은 꼭 선택하시기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제 설치를 시작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제 선택한 패키지를 설치하기 시작한다.
가사머신인 관계로 시간이 꽤 걸려 설치한다. 하지만, 가상머신이 아닌 환경에서는 빠른 설치일 것을 기대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로써 설치가 끝났다. 재부팅 버튼을 누르면 시스템이 부팅되면서 새로운 버전의 Fedora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Posted by 달리만듦

SKT, 리눅스 기반 모바일플랫폼 개발기구인 리모에 가입

머니투데이에 따르면, SK텔레콤이 공개 운영체제인 리눅스 기반의 모바일 플랫폼 개발 및 표준화에 동참한다고 한다.

SK텔레콤은 리눅스 기반의 모바일 플랫폼 개발 및 표준화를 주도하는 기구인 리고(LiMo Foundation)에 가입했다고 13일 밝혔다.

리모는 2007년 1월 삼성전자, 모토로라, 보다폰, NTT도코모, NEC, 파나소닉 등 6개 업체가 리눅스 기반의 모바일 플랫폼 표준화를 위해 설립했으며, 현재 통신분야 30여개 업체가 참여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이번 리모 가입을 계기로 기존 플랫폼 기술과 개발 경험을 살려 리눅스 기반 모바일 플랫폼 개발 및 표준화게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또한 SK텔레콤은 자사 휴대폰에 리눅스 플랫폼을 적용할 경우, 다양한 국내외 서비스와 콘텐츠를 탑재할 수 있어 해외시장 개척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달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개시한 SK텔레콤은 각종 위원회와 기술 회의에 참석,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는 한편, 플랫폼 표준화 개발에도 참여할 예정이다.

보다 자세한 기사는
여기를 참조하세요.

 

 

Posted by 달리만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