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시간으로 10월 30일 데스크탑용 리눅스 OS인 우분투의 8.10 버전이 발표되었다.
우선 간단하게 8.10버전을 설치해보았다.
다음은 설치화면이다.
처음 화면에서 한국어를 선택하면 바로 설치 시작화면이다.
![](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3/30_4_12_28_blog132093_attach_0_0.png?original)
사용할 시간대를 선택한다.
![](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0/30_4_12_28_blog132093_attach_0_3.png?original)
사용하는 키보드 레이아웃을 선택한다.
디스크 파티션을 나눈다.
수동을 선택하면 파티션을 고민하여 나눌 수 있다.
자동을 선택하면 사용할 하드 디스크를 전체를 하나의 파티션으로 잡아서 우분투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등록을 한다.
다른 계정은 설치 후에 추가할 수 있다.
설치 준비가 끝났다.
선택 사항을 확인하고 설치버튼을 누르면 설치가 시작된다.
설치 중이다.
설치를 마쳤으면 리부팅.
리부팅을 하면 맨 먼저 점검해야 할 것은 그동안 업데이트 된 것이 있는지이다.
시스템 업데이트를 통해서 자동으로 감지되어 업데이트를 설치할 것이 권유되기도 한다.
갓 발표된 버전임에도 6개의 업데이트가 있단다.
이것 역시 설치한다.
시스템에 관련된 업데이트를 설치했으므로 다시 리부팅한다.
이것으로 우분투 설치는 끝났지만, 그대로 사용하기에 2% 부족하다.
제일 먼저 할 일은 플래시 플러그인 설치
대부분의 웹 페이지서 구현된 플래시로 된 이미지, 동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파이어폭스를 이용하여 플래시 미디어가 구현된 페이지로 옮기면 플러그인 설치화면이 나타난다.
여기서 자동으로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다.
다음은 한글 입력기 설정
우분투의 가장 큰 문제점이 바로 한글이다. 한국어를 기본으로 하여 설치해도 SCIM의 한글 입력기를 제대로 설치하지 못한다. 그래서 몇 가지를 건드려 주어야 한다.
이번 버전에서는 그나마 조금 진전이 보인 듯 했는데, 역시 한영 전환에 문제가 좀 있다.
한글 입력을 제대로 바로잡기 위해서는 다음의 절차로 몇 가지 파일을 설치해야 한다.
우선 시스템 > 관리 > 언어 를 선택하여
지원가능한 언어 중에서 한국어,
기본 언어는 한국어로 선택한다. 이미 선택되어 있더라도 다시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다음으로는 시스템 > 기본설정 > SCIM 입력기 설정을 선택하여 SCIM 입력기에 관한 설정을 한다.
우선 전체 설정
전체 설정의 전환키를 Shift-space만 나두고 모두 삭제한다.
다음으로 한글의 자판을 선택하고 - 저는 세벌식을 사용하므로 세벌식 390을 선택
한글 키로 역시 Shift-space만 나두고 모두 삭제한다.
확인을 누르고 SCIM을 다시 실행하면
Shift-space를 사용하여 한영 전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간단하게나마 오늘 발표된 우분투 8.10 버전을 설치하고
한글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몇 가지를 손 보았다.
시간이 나는대로 우분투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몇 가지 더 써보도록 할 것이다.
뱅킹, 쇼핑 시 결재 문제만 아니라면 우분투는 아주 훌륭한 Windows의 대안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