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를 중첩되게 설치하여 데이터를 안전하게 백업.
클라우드의 홍수(?)다.
이전부터 사용하던 드롭박스 Dropbox는 기본 2GB 부터 노력여하에 따라서 8GB까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었다.
이제 국내 포탈, 통신사에서 클라우드를 제공하기 시작하면서,
용량은 다음 클라우드 50GB, 네이버 N드라이브 30GB, KT olleh Ucloude 50GB 등이다.
이들을 모두 합치면 무려 130GB나 된다.
오늘은 시간을 쫌 내어서 이들을 잘 연합해서 사용할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내가 주로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이들 모두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주로 사용하는 디바이스로는
- 사무실에서 데스크톱 PC - Window 7
- 사무실, 집에서 노트북 - Ubuntu 11.04 (Linux)
- 집에서 데스크톱 PC - Window 7
- 그리고 모바일기기로 Nexus One (Android)
일단 모든 디바이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DropBox, 다음 클라우드다. 이 둘은 Windows, Mac, Linux, 그리고 모바일용 클라이언트를 지원한다.
네이버의 N드라이브는 Windows, Mac, 모바일용 클라이언트는 제공하지만, Linux용은 없다.
KT olleh cloude 역시 windows, Mac, 모바일용 클라이언트까지만 제공되고 Linux용은 없다.
용량 | Windows | Mac | Linux | Mobile (iOS, Android) |
|
DropBox | 2GB ~ 8GB |
O | O | O | O |
다음 클라우드 |
50GB | O | O | O | O |
네이버 N드라이브 |
30GB | O | O | X | O |
KT olleh ucloude |
50GB | O | O | X | O |
사무실과 집 모두 KT회선을 사용하고 있고, 모바일 역시 KT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KT ollhe ucloude가 속도가 가장 잘 나올 것이라 믿고, 데스크톱의 주 클라우드는 KT olleh ucloude로 낙점.
거기에 아주 중요하고, 자주 보는 파일에 대해서는 DropBox를 추가로 이용하여 리눅스, 모바일에서 동시에 ......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은 구성이 될 것이다.
olleh ucloud를 먼저 설치하고 - 순서는 큰 차이가 없지만... - 클라우드 디렉토리를 설정한다.
이제부터 해당 디렉토리에 파일관련 작업을 하면, olleh ucloud에 자동으로 싱크된다.
이제 DropBox를 설치하고, 디렉토리를 olleh ucloud 디렉토리 내부에 설정한다.
그렇게 해야 DropBox 디렉토리에 파일작업을 하면, olleh uCloud에도 같이 반영된다.
싱크가 필요한 다른 디바이스에도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클라우드 클라이언트를 설치한다.
이제 내가 작업한 파일을 굳이 USB로 복사해서 들고 다니지 않아도 4개의 서로 다른 디바이스에서 열어보고, 작업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각 클라우드는 클라이언트를 따로 설치하지않고, 웹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를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서는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DropBox에 아직 가입하지 않았다면 이 링크를 통해서 가입할 수 있답니다.
'웹 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호스팅 가격 비교 (1) | 2012.04.06 |
---|---|
내가 경험한 최악의 ActiveX 배포사이트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8) | 2009.05.09 |
이제 구글 캘린더도 오프라인에서 이용한다. (0) | 2009.03.05 |
토당초등학교에서 청평사까지 가는 길? (0) | 2009.02.26 |
위성지도 4파전 - 구글, 야후, 네이버, 다음의 위성지도 비교 (9) | 2009.01.19 |